AEFE는 해외 프랑스 학교를 거론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AEFE라는 네 글자를 풀어서 쓰면 Agence pour l'enseignement français à l'étranger이며 영어로 번역하자면 The Agency for French Education Abroad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는 "해외 프랑스 교육 담당 기관"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프랑스는 전 세계에 프랑스 학교를 세우는 나라입니다. 자국민이 어느 나라에 가서 일을 하며 살더라도 프랑스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랑스 학교는 반드시 세웁니다. 또한 프랑스 국민뿐 아니라 프랑스 교육에 관심을 보이는 해당 나라의 국민 역시 적합한 조건을 충족할 경우 기꺼이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리하여 프랑스의 문화를 만방에 알릴 수 있도록 말입니다. 역사상으로 예전 식민지를 건설할 때에도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어느 나라에 거주하든 프랑스 현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 동일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프랑스 정부는 엄격하게 학교를 관리합니다. 프랑스에서 행해지는 커리큘럼과 다를 경우 정부는 학교를 인정해주지 않습니다.
해외 프랑스 학교의 교육 여건을 전담하는 기관은 프랑스 교육부, 프랑스 외교부, 그리고 AEFE입니다. AEFE는 프랑스 교육부와 프랑스 외교부와의 협력을 통해 프랑스 학교 인가(homologation) 절차 및 교사 파견, 장학금 지급 등을 관리합니다.
다시 말해서, 만약 한국에서 프랑스 학교를 새로 설립할 경우, "한국에 프랑스 학교 세울 것인데 허락해달라"고 프랑스 대사관의 동의 요청을 거치고, 한국 내 해당 교육청에 외국인 학교로 등록 절차를 밟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프랑스 정부 즉, 프랑스 교육부와 외교부의 세세한 검토를 통해 AEFE가 직접 수행하여 "인가(homologation)"가 완료되어야 비로소 완전한 프랑스 학교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초/중/고 최종 프랑스 교육부 인가가 완료된 학교는 서울 프랑스 학교(Lycée français de Séoul) 한 곳뿐 입니다. 하비에르 국제학교(Lycée International Xavier)는 중2-고3까지의 인가가 아직 남아있고(유치원은 일단 2022년 의무교육 3개 학년 중 2개 학년만 인가 되었습니다. 1개 학년은 미개설) 초등학교 1학년-중학교 1학년까지의 인가만 완료되어 부분 인가 상태입니다. 인가 절차와 내용은 추후 다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인가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학교 운영은 가능하지만 누릴 수 있는 혜택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 차이에 대해서도 따로 언급할 예정입니다.
참고로, 프랑스 교육부 사이트에서 하비에르 국제학교는 "서울 프랑스 하비에르 초등학교 (ÉCOLE PRIMAIRE FRANCAISE XAVIER DE SÉOUL) "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정까지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프랑스 교육부 인가는 "초등학교"까지만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관련 글을 참고해 주세요.
2022.08.21 - [프랑스 학교를 고를 때] - 프랑스 학교 식별 코드 (UAI) , 이 코드가 알려주는 학교 정보는?
프랑스 학교 식별 코드 (UAI) , 이 코드가 알려주는 학교 정보는?
모든 학교에는 학교 고유의 식별 코드가 부여됩니다. 예전에는 RNE(Répertoire national des établissements)이라고 불렸던 코드 이름을 이제는 UAI라고 합니다. UAI는 Unité Administrative Immatriculée의..
harborgray.tistory.com
AEFE 가맹은 AEFE를 통해 인가 신청을 하기 전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조건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통한 해외 프랑스 학교들의 홈페이지를 보았을 때 AEFE 로고가 보인다면 기본적으로 AEFE 네트워크의 일원이며 인가 절차에 참여한 적이 있음을 알려주는 지표가 됩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AEFE 가맹에도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관심 있는 프랑스 학교 홈페이지에서 aefe 로고를 발견했다면, 그다음 살펴야 할 것은 "색깔"입니다.
보라색, 푸른색, 오렌지색,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로고 뿐만이 아닌 세계 지도의 색깔을 반드시 살펴야 합니다.
- ÉTABLISSEMENT EN GESTION DIRECTE= AEFE에서 직접 운영하는 학교
- ÉTABLISSEMENT CONVENTIONNÉ= AEFE와 협약을 통해 운영되는 학교
- ÉTABLISSEMENT PARTENAIRE=AEFE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파트너십을 유지하는 학교
보라색으로 표기된 ÉTABLISSEMENT EN GESTION DIRECTE는 첫 글자만 따로 떼어내어 EGD라고 간편하게 표기하기도 합니다. AEFE가 학교 설립부터 인사까지 운영 전반을 모두 책임 관리하는 형태입니다. 직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모든 부분을 프랑스 정부로 대변되는 AEFE가 하나하나 다 체크하고 관여합니다.
푸른색으로 표기된 ÉTABLISSEMENT CONVENTIONNÉ 는 AEFE와 일종의 협약을 맺고 EGD 정도의 직영은 아니더라도 학교 내 학부모 협회와 긴밀히 협조하며 재정 관리와 운영에 관여합니다. 학부모 협회와 학교 운영진 양대산맥이 든든하게 받쳐주는 형태입니다. AEFE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고 프랑스 교육부를 통해 자격을 검증받은 교사가 파견됩니다. 학교 증축 및 신설에도 재정적 도움을 제공하며 AEFE와 연계하여 프랑스 전반 행사에 참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 프랑스 학교(Lycée français de Séoul)이 이 그룹에 포함됩니다.
오렌지색으로 표기된 ÉTABLISSEMENT PARTENAIRE은 EGD와 Conventionné와 같이 직접적인 AEFE의 관여는 줄어들고 AEFE에서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연수, 학생 진로 선택 시 도움 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 학교입니다. 인사권은 AEFE가 아닌 학교에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 재량으로 교직원 채용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하비에르 국제학교(Lycée International Xavier)가 이 그룹에 포함됩니다.
프랑스 국회(Assemblée Nationale)에서 2022년 1월 5일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해외 프랑스 교육 담당 기관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그 중 AEFE의 세 학교 유형을 명확하게 개시해 두었습니다. 위의 첨부 이미지에 있는 문장을 해석해 보았습니다.
(해석)
1.직영 학교(Établissements en gestion directe= EGD) : AEFE 소속 공공 운영 기관 역할로 예산은 AEFE 본 예산과 합산되어 관리된다.
2. 협약 학교(Établissements conventionnés): 사립협회 (주로 관리 운영 위원회로 결성된 학부모 협의회)에 의해 학교가 운영되며 AEFE와는 행정, 재무, 교육 협약을 맺어 특히 교육 공무원 채용과 보수에 대한 일반 원칙을 포함한다.
3. 파트너십 학교 (Établissements partenaires): 사립협회에 의해 운영되며 AEFE와는 교육 문제와 교사 연수에 한하여 파트너십 제휴를 맺었다. 행정 및 재무 분야에서 세 학교 유형 중 가장 큰 자율성을 가진다.
AEFE를 통한 인가 신청을 하기 전 기본적으로 파트너십 단계로 AEFE에 가입을 하면서 AEFE에 발을 걸쳐 놓은 다음, 인가가 완료되면 협약(conventionnée)을 맺는 단계로 한 단계 올라가거나 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협약 관계에서 파트너십 관계로 내려오는 경우도 드물지만 가능합니다.
AEFE를 통한 보조금 혜택, 장학금 혜택 등 학교가 제공받는 부분도 많지만, 학교 입장에서는 독립적인 운영을 원하거나 해마다 지출하는 가맹비의 퍼센티지가 높을 경우 등을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협약학교(établissement conventionné)는 정기적으로 학교 수입의 6%를 AEFE에 납부합니다. 파트너십 학교(établissement partenaire)는 2%를 납부합니다. 가맹비를 감안한 학비가 높게 책정될 수는 있으나 학생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과 경험이 더 풍부해지고 다양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학생과 학부모 입장에서는 AEFE 협약 관계의 학교에서 얻는 혜택을 더 원할 수도 있겠습니다.
AEFE에서 세 가지 유형의 학교들을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EFE 사이트 (https://www.aefe.fr/)에 들어가서 Rechercher un établissement (학교 찾기)를 누른 다음, 나라와 도시를 각각 드롭다운 버튼을 통해 선택합니다. 구체적인 학교 이름을 모르더라도 나라와 도시만 선택하면 여러 학교들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은 프랑스어로 Corée du sud, 서울은 Séoul 이 됩니다. 다양한 색깔의 학교들이 목록에 노출되며 알아보고자 하는 학교의 이름 옆에 색깔로 표시됩니다. 직접 이름을 누르면 학교 정보가 나옵니다.
해외에 있는 프랑스 학교를 찾아보기를 원하신다면 제일 먼저 AEFE를 통해 해당 학교의 가맹 상태 및 인가 여부를 알아보시면 좋겠습니다.
아울러 홈페이지 상단 혹은 하단에 인가(homologation) 로고가 올바르게 게시되었는지 확인도 필요합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2025.02.24 - [프랑스 학교를 고를 때] - 해외 프랑스 학교의 인가(homologation): (3) 인가 로고(bloc-marque)를 사이트에 게시하려면?
해외 프랑스 학교의 인가(homologation): (3) 인가 로고(bloc-marque)를 사이트에 게시하려면?
프랑스 교육부를 통한 인가(homologation)가 완료된 후, 희망하는 학교는 학교 홈페이지에 인가 로고를 게시할 수 있습니다. 주로 SNS 및 협력기관을 소개하는 메뉴에 게시하는 학교가 많습니다. 학
harborgray.tistory.com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의 무단 복제 및 도용은 엄격히 금지하고 있습니다.
남겨주신 공감은 힘이 됩니다.
'프랑스 학교를 고를 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학교를 선택할 때 살필 요소: (2) 외국인학교나 국제학교의 공시 정보 찾는 법 (0) | 2022.07.16 |
---|---|
하비에르 국제학교 유치부 부분 인가(homologation) 소식 (2022년 6월) (0) | 2022.07.06 |
한국에 있는 프랑스 학교들 (0) | 2022.06.28 |
"Cycle": 프랑스 초중등을 묶는 카테고리, 중1은 초중등을 묶는 브릿지 학년 (0) | 2022.06.27 |
프랑스 초/중/고 학년 구분하기 & 프랑스 유치원 인가 여부 알아보기 (0) | 2022.06.27 |